
비접촉 인사법 6가지
옛 친구나 새로운 이를 만난다. 악수하려 손을 내밀었다가 어색하게 손을 거둔다…아 맞아, 거리 두기를 해야지.
반가운 악수는 중공바이러스가 있기 전에는 일상이었죠. 하지만 요즘에는 그렇게 가까워지는 것을 모두가 원하지는 않잖아요. 그래서 대안이 필요합니다.
다행히도 옛날 중국에서 하던 인사법에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답니다. 악수가 동양의 문화였던 적은 없어요. 사실 중국에는 다양한 인사법이 있었는데요. 모두 접촉이 없는 방법들이었죠.
그럼 이제 비접촉 인사법 여섯 가지를 알아볼까요.
#1 공수례(拱手禮): 두 손 마주잡고 인사하기

꽉 쥔 주먹을 다른 손으로 부드럽게 감싸는 동작인데요. 지금도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즐겨하는 인사법입니다. 특히 대만에서는 이 전통 예절이 전혀 구식이 아니라고 하네요.
고마움을 표시하거나 축하할 때, 사과할 때나 호의를 베풀어 주십사 부탁할 때도 이 인사법을 쓸 수 있어요.
남성은 오른 주먹을 왼손으로 감싸고, 여성은 왼 주먹을 오른손으로 감쌉니다. 혹시 손 자세를 거꾸로 하면 잘 아는 사람이 보고 웃음을 참지 못하겠죠.
#2 국궁례(鞠躬禮): 허리 굽혀 인사하기

허리 굽히기는 서양 왕실에서도 흔히 쓰였던 정중한 인사법이었죠.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지금도 가장 흔한 인사법이랍니다.
국궁례 에티켓은 국가마다 약간씩 다른데요. 이 인사법이 아주 일반적인 한국과 일본에서는 답례하지 않으면 예의가 없다고 한대요. 사회 위계가 중요해서 상사, 선생님, 웃어른 등 윗사람에게 인사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죠.
허리 굽혀 인사할 때는 이 점을 기억하세요:
- 등, 목, 머리를 바르게 펴고 허리를 숙인다.
- 무릎을 곧게 편다.
- 존중의 뜻을 보이기 위해 천천히 허리를 구부리며 허리를 다 구부렸으면 천천히 곧게 편다. 허리를 굽힌 자세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 허리를 많이 굽히면 굽힐수록 진정성과 존중을 더 많이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약간 허리를 굽히는 정도로 충분하다.
자주하면 아주 좋은 허리 운동이 된답니다!
#3 포권례(抱拳禮): 쿵푸식 인사

쿵푸 인사법은 무술계에서 쓰이는 동작입니다. 언뜻 보면 두 손 마주잡는 1번 인사법하고 비슷해 보이죠. 하지만 이 인사법에서는 오른 주먹으로 쫙 편 왼손의 손바닥을 단단히 누릅니다. 주먹과 손바닥이 부딪치는 소리를 내도 괜찮아요.
이 인사법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요. 그 중 하나는 문무(文武)를 겸비한 이상적인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고 해요. 굳게 쥔 주먹은 무관을, 펼쳐진 손은 항상 겸허히 배우는 문관을 상징한답니다.
#4 만복(萬福): 중국식 여성 인사법

고대 여성(뮬란은 빼고!)들은 쿵푸식 인사를 하지는 않았겠지요. 하지만 여성들만의 인사법이 있었는데, 중국식 커티시(curtsy: 무릎을 살짝 구부리며 하는 서양식 여성 인사법)라고 불러 볼게요.
이 인사법은 왼손을 가볍게 쥐고 오른손으로 감싸는 동작입니다. 그 다음 두 손을 왼쪽 허리부분에 두고 무릎을 살짝 구부리면 됩니다.
#5 작읍(作揖): 읍하는 인사

이 오래된 인사법은 약 3천 년 전 서주(西周)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상황에 따라서 9가지 다른 방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을 가슴 높이로 하고 손바닥은 안을 향하고 팔은 땅과 수평을 이룹니다.
- 남성은 왼손을 밖으로, 여성은 오른손을 밖에 둔다.
-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편다.
#6 합장(合十, 허스)

합장은 불가(佛家)에서 흔히 쓰는 인사법이에요. 스님들은 보통 다른 스님들이나 주지 스님, 또는 일반 신도들을 만났을 때 합장으로 인사를 해요. 불가에서 수련하는 사람들도 서로 만나거나 기도할 때, 스승에게 공경을 표할 때, 신성한 존재의 형상을 마주할 때 합장을 한답니다.
합장은 요가나 남아시아 전통에서도 친숙한 인사법입니다. 가슴 앞에 손바닥을 마주보게 살며시 놓는데, 이때 손가락들은 살짝 붙이고 양손 사이에는 공간을 둡니다. 팔은 편안하게 곧게 펴서 수평을 이루고, 팔꿈치는 밖을 향합니다.
* * *
거리를 둔 비접촉 방식으로 기분 좋게 인사하는 여섯 가지 방법, 이제 아셨죠. 다음에 누군가를 만나면 한번 해보세요. 어떻게 하는지도 알려주고요. 이 중 하나가 복고풍 유행이 될지도 모르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