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와 중국고전무용의 7가지 차이점
널리 알려져 있듯이, 발레(Ballet)는 고아(高雅)하고 고전적인 예술입니다. 발레극 「호두까기 인형」과 「백조의 호수」는 전 세계 사람들이 사랑하는 작품이지요. 그런데 최근 들어 사람들에게 다시 인식되고 있는 또 하나의 무용 예술이 있습니다. 그것은 풍부하고 완비된 훈련 체계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유구하고 광대한 문화적 함의를 품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묻혀 있던 문화의 보물로서, 정통 예술이 홀대받는 이 시대에 오히려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무대에 막 올라선 순간부터, 전 세계 예술 애호가들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은 이 예술, 바로 중국고전무용(中國古典舞, Classical Chinese Dance)입니다.
중국고전무용은 신운(身韻, bearing)·신법(身法, form)·기교(技巧, technical skill)를 중시하며, 모두 표현력이 매우 풍부합니다. 오천 년에 걸친 단련을 거치면서 발전해, 오늘날에는 세계에서 가장 완전한 무용 체계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최근까지 사람들에게 공개된 중국 대륙의 공연단체들이 선보인 무용은, 대부분 순수한 의미의 중국고전무용이 아니었습니다. 그 안에는 발레, 현대무용, 재즈 등이 뒤섞여 있고, 과도하게 과장되고 화려한 음향·조명 효과까지 더해져, 관객이 고상하고 평화로운 예술적 감상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2006년, 뉴욕에서 션윈예술단(神韻藝術團, Shen Yun Performing Arts)이 설립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션윈의 사명은 진정한 전통문화를 되살리는 것이며, 그 안에는 순수한 중국고전무용을 부흥시키는 일도 포함돼 있습니다. 십 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에 션윈예술단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사람들은 중국 전통예술에 대해 전혀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동방의 무용 형식과 서방의 발레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왜 둘 다 혹독한 훈련을 거치고, 똑같이 고상하고 아름다우면서도, 관객에게 주는 예술적 체험은 완전히 다를까요?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해 보겠습니다. 물론 진정으로 그 차이를 이해하려면, 직접 중국고전무용 공연을 한 번 체험해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첫 번째 차이: 역사적 연원

발레의 역사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로부터 약 백 년 뒤, 프랑스 태양왕 루이 14세 시기에 발레 예술은 전성기를 맞이합니다. 루이 14세는 직접 나서서 발레를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 정립했으며, 그때 마련된 많은 기본 요구 사항과 규범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고전무용은 5천 년 중국 문명사의 토대 위에 세워진 예술입니다. 역사 기록이 시작된 이래, 중국의 무용은 궁정무용·민간무용·희곡·곡예·무술 등의 형태로 존재해 왔습니다. 각 시대의 문화를 거치며 단련되고, 대대로 전승되면서 끊임없이 풍부해지고 완비되어, 오늘날의 중국고전무용으로 형성되었습니다.
두 번째 차이: 핵심 요체
중국고전무용은 ‘의(意)가 형(形)을 이끈다’는 원리에 기반한 무용 예술입니다. 그중에서도 신운(身韻)의 묘미는, 그것이 무용수의 내면—감정, 마음가짐, 성격적 특질, 감정의 변화, 그리고 문화적 수양—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는 데 있습니다. 발레와 중국고전무용은 각각 독자적인 완전한 훈련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체력 향상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그 외의 무용이 중점적으로 다루는 부분과 핵심 요령은 크게 다릅니다.
발레는 무용수의 다리 근육과 발 동작의 기본기 훈련을 특히 중시하며, 동작의 정확성과 규범성을 강조합니다. 반면 중국고전무용은 신운(身韻, bearing), 신법(身法, form), 기교(技巧, technical skill), 그리고 연기(表演)가 하나로 융합되는 것을 중시합니다. 무용수가 춤을 출 때 동작이 정확하고 기교가 뛰어난 것은 물론, 그 안에 내적인 ‘운치와 맛’이 살아 있어야 합니다.
이 가운데 ‘신운(身韻)’은 발레에는 없는, 중국고전무용만이 가진 독특한 표현 형식입니다. 신운은 형(形)·신(神)·힘(勁)·리듬(律)을 아우릅니다. 눈빛·표정·호흡, 그리고 “왼쪽으로 가고자 할 때 먼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欲左先右)”, “위로 오르고자 할 때 먼저 아래로 내려간다(欲上先下)”, “원(圓)”과 같은 동작의 길(路線)을 통해, 인물의 내면적 성격과 풍부한 감정, 중국인 특유의 기질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면, 여인의 수줍고 부드러운 아름다움, 남성의 침착하고 강건한 기상 같은 것입니다. 신운의 묘미는, 그것이 무용수의 내면적 감정과 마음가짐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데 있습니다. 무용수의 성격적 특질, 감정의 변화, 문화적 수양은 신운을 통해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
사실 중국고전무용의 신운은, 5천 년 문화의 토대 속에서 중국인의 피와 세포에 스며든 문화적 깊이와 내적 아름다움, 그리고 민족적 체태와 동작의 운치가 구체적인 형식으로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 전통문화는 반신(半神)문화, 곧 하늘과 인간이 하나 되는(天人合一) 문화입니다. 이 지점에 이르면 이야기가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 뒤에서 다시 중국고전무용의 문화적 저변을 살펴볼 때 더 자세히 이야기하겠습니다.
세 번째 차이: 신체 소질 훈련

발레와 중국고전무용의 무용수는, 모두 유연성과 근육 상태를 엄격한 훈련을 통해 길러야 합니다. 그래서 두 장르의 무용수는 대개 가늘고 길며 균형 잡힌 체형을 갖고 있습니다. 무용수의 체형은 서로 비슷해 보이지만, 두 무용의 훈련 방식은 상당히 다릅니다.
기본기 훈련에서 발레는 발을 바깥쪽으로 벌리는 일자형 발 자세와, 무릎을 바깥으로 세워 서는 자세를 요구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단련되는 다리 근육은,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특수한 방향의 근육입니다. 반면 중국고전무용은 자연스러운 근육을 사용합니다. 걷기·뛰기·농구처럼 일상적인 운동에서 자주 쓰는 근육을 단련합니다. 자연스럽게 쓰이는 근육일수록 힘이 더 크고, 이러한 훈련은 기본기 연습의 부담을 줄여줄 뿐 아니라, 무용수가 중국고전무용에 등장하는 고난도 판텅(翻騰) 기교를 더 안전하게 완수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네 번째 차이: 기교(技巧)

발레의 기교에는 회전, 점프, 리프트(파트너를 들어 올리는 동작) 등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중국고전무용의 기교 범위는 매우 넓으며, 크게 점프(跳), 회전(轉), 텀블링(翻), 컨트롤(控制)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발레에서 회전할 때 상체 자세는 비교적 단일합니다. 보통 상체와 하체가 서로 직각을 이루며, 몸이 수직으로 곧게 선 상태에서 회전합니다. 그러나 중국고전무용의 회전은 형태가 매우 다양합니다. 상체를 비틀고(擰), 기울이고(傾), 옆으로 들어 올리는(旁提) 동작을 결합하여, 여러 가지 우아한 회전 자세를 만들어 냅니다. 또한 ‘쯔진관(紫金冠)’ 같은 큰 컨트롤 동작을 유지한 채 회전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회전은 무게중심과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난도 측면에서 더 높은 요구를 합니다.
또 중국고전무용에는 발레에는 없는 ‘판선(翻身)’ 동작이 있습니다. 판선은 허리와 엉덩이를 축으로 삼아, 몸을 수평에 가깝게 기울인 상태에서 회전하는 동작입니다. 이때 동작 전체에 비틀기, 젖히기, 숙이기, 옆으로 들기와 같은 형태가 관통합니다. 무용수가 넉넉한 긴 소매와 넓은 옷자락의 전통 의상을 입고 연속 판선을 펼치면, 무대 위에는 마치 화려한 꽃이 만개한 듯한 시각적인 효과가 펼쳐집니다.
중국고전무용의 각종 공중 판텅 동작은 관객을 자주 감탄하게 만듭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중국 체조계는 이러한 고난도 기교를 중국고전무용에서 차용해 올림픽 종목에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세상 사람들은 대체로 이 동작들이 체조(gymnastics)나 곡예(acrobatics)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반대입니다. 이 기교들은 모두 중국고전무용에서 유래했으며, 이미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차이: 발놀림

무대 위에서 발레와 중국고전무용이 보여 주는 가장 눈에 띄는 차이 가운데 하나가 바로 발과 걸음의 모습입니다. 여성 발레 무용수는 보통 발끝으로 서거나 걷고, 두 다리를 곧게 펴고 굽히면서 움직입니다. 반면 중국고전무용의 여성 무용수는 걸을 때 일반적으로 ‘위안창(圓場)’이라 불리는 스텝을 사용합니다. 위안창에서는 발뒤꿈치가 먼저 바닥에 닿고, 이어 발바닥과 발끝으로 힘이 이동합니다. 발 모양은 살짝 배처럼 굽은 형태가 되고, 두 다리는 미세하게 굽혀져 딱딱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면 빠르게 걸을 때도 비교적 수월합니다. 훈련할 때, 위안창 한 걸음의 기본 단위는 보통 발뒤꿈치에서 발끝까지의 거리 정도입니다. 그래서 무대 위에서 무용수가 걷는 모습을 보면, 걸음이 작고 잔잔하여 고운 옛 여인이 ‘연꽃 같은 발걸음’을 옮기는 듯한 인상을 줍니다. 위안창의 걸음은 평온하고 끊어짐이 없어서, 무용수가 마치 구름 사이를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중국고전무용의 발 동작에는 위안창 외에도, 발끝을 안쪽으로 둥글게 거는 ‘거우(勾)’, 길게 쭉 뻗는 ‘벙(繃)’, 발바닥을 살짝 끌어올리는 ‘콰이(擓)’ 등 여러 형태가 있습니다. 이들은 중국고전무용 특유의 손 모양과 마찬가지로, 풍부한 무용 언어를 표현하는 수단입니다.
여섯 번째 차이: 무술과의 관계

중국고전무용의 많은 기교 동작은 무술(武術, Martial Arts)과 매우 비슷합니다. 고대에는 춤이 문무(文舞)와 무무(武舞)로 나뉘었습니다. 춤을 문(文)으로 쓰면 다양한 축제와 연회의 궁정무가 되고, 춤을 무(武)로 쓰면 전장에 나갈 때 쓰는 무술이 됩니다. 당나라 때의 「진왕파진악(秦王破陣樂)」은 무무의 대표적인 예로, 당시 일본과 서아시아에까지 널리 알려진 대형 진법무였습니다. 그 안의 많은 동작은 실제 무공의 신법(身法)이었습니다.
춤과 무술에는 비슷한 신법 동작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고전무용 기교 중 뒤로 도는 공중제비(後空翻)는 무술에서는 정면에서 날아오는 긴 창을 피하는 데 쓰입니다. ‘싸오탕투이(掃堂腿)’는 무술에서 여러 적의 하단을 동시에 공격하기 위한 동작입니다. ‘촤이옌(踹燕)’은 몸을 뒤로 젖혀 적의 무기를 피하면서, 동시에 발로 상대의 얼굴을 공격하는 기술입니다. 이처럼 무술과 비슷한 동작들은, 중국고전무용 속에서 신운과 연기를 더해 몸짓의 과정과 미감을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그래서 동작이 더 부드럽고, 느리고, 선이 길어집니다.
춤과 무술은 같은 뿌리를 가진 예술이자 기예입니다. 하나의 무(武/舞)가 두 가지 용도를 갖고 있는 셈(一武(舞)兩用)으로, 발음은 같지만 글자는 다르고, 하나는 음(陰), 하나는 양(陽), 하나는 문(文), 하나는 무(武)를 상징합니다. 이는 바로 신전(神傳) 문화의 특징을 드러냅니다. 또한 무술이 몸을 지키고 목숨을 보호하는 실전 기술이라는 특성 덕분에, 중국고전무용의 많은 신법과 기교가 수천 년 역사를 거치면서 변하지 않고 오늘날까지 전해질 수 있었고, 지금도 세계 예술 무대에서 찬란한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 차이: 문화적 저변
서양의 발레와 동양의 중국고전무용이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둘이 서로 다른 문화적 기반 위에 세워져 있다는 데 있습니다.
발레는 한때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루이 14세 시기의 프랑스 궁정 귀족 사이에서 크게 유행했습니다. 발레는 품위 있고 엄격한 예술로, 춤의 리듬이 비교적 안정되고 규칙적이며, 동작은 ‘열림(開), 긴장된 발끝(繃), 곧음(直), 곧게 섬(立)’을 요구합니다. 동작의 형태는 주로 직선과 엄격한 각도를 기본 틀로 삼으며, 신체의 균형과 대칭을 중시해, 귀족의 우아하고 고귀한 기품과 서양인의 외향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드러냅니다.
반면 중국고전무용은 5천 년 신전(神傳) 문화의 일부입니다. 궁정무용의 화려함과 민간무용의 다채로움이 모두 담겨 있을 뿐 아니라, 각 왕조의 문화적 특징과, 그 속에 관통되어 있는 유·불·도(儒、釋、道) 신앙이 만들어 낸 깊은 내포를 품고 있습니다. 중국고전무용의 동작과 형식은 ‘원(圓)’을 기본 단위로 합니다. ‘원’은 도가의 천인합일(天人合一), 불가의 원융(圓融), 유가의 중용(中庸) 사상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두 동작 사이를 이을 때에도, 원형의 노선을 사용해 동작의 연결이 구름 흐르듯 물 흐르듯 자연스럽고 연속적이게 만듭니다. 또 중국고전무용에서 힘을 내고 리듬을 다루는 방식에는 “왼쪽으로 가려면 먼저 오른쪽으로(欲左先右)”, “앞으로 가려면 먼저 뒤로(欲前先後)”, “위로 오르려면 먼저 아래로(欲上先下)”, “아래로 내려가려면 먼저 위로(欲下先上)”와 같이, 먼저 안으로 힘을 모은 뒤 밖으로 내보내는 ‘축세(蓄勢)’의 원리가 깔려 있습니다. 바깥으로 펼치고자 할 때 먼저 안으로 응축(內蓄)하는 이러한 방식은, 만물의 상생·상극, 끊임없이 이어지는 생멸의 이치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서양 문화는 외형의 정확성과 기교의 정밀함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고, 중국 문화는 더욱 ‘신(神)’, 곧 내면의 정신과 기운을 강조합니다. 중국고전무용의 신운에서는 “몸·눈·손·법·걸음(身、眼、手、法、步)”의 조화로운 운용을 요구합니다. 동작 속의 비틀기(擰), 기울기(傾), 원(圓), 굽힘(曲)이라는 형태를 통해, 미묘한 감정 변화와 내적 내포, 내면의 아름다움을 더 정확하게 표현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여인이 몸을 한 번 비틀어 돌리는 동작 안에도, 수줍음, 부끄러움, 망설임과 같은 여러 마음 상태를 담을 수 있습니다. “신으로 형을 이끈다(以神御形)”, “형과 신이 모두 갖추어져야 한다(形神兼備)”는 것이 중국무용의 주요 특징이며, 중국고전무용이 풍부한 표현력을 지닌 이유 가운데 하나입니다.
중화문화는 신과 가까운 문화입니다. 중국 고대에서는 각종 직업과 기술을 모두 ‘도(道)’라 불렀고, 어떤 기술을 배우는 일을 ‘한 가지 기술을 닦는다(修煉)’고 표현했습니다. 도덕과 기술을 함께 닦는 것을 중시하며, 개인의 도덕적 경지가 그 사람의 지혜와 기예를 결정한다고 보았습니다. 무용수는 자신의 인품과 마음가짐을 갈고닦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아름다움을 통해, 보편적 미감에 부합하는 예술을 보여 줄 수 있습니다. 중국고전무용 무용수는 전통문화를 배우고, 마음 상태와 도덕 기준을 높이는 한편, 춤의 기교를 힘써 연마합니다. 그래서 무용수의 몸과 마음이 함께 승화되는 것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스포츠나 일반 무용과는 매우 다른 점입니다.
소중한 인류 문화 유산
무용 예술은 세계 어느 민족이든 함께 이해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 정통 예술은 사람들 마음속에 아름다움과 선함에 대한 갈망을 일깨우고, 인류 문화에 긍정적이고 상승하는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발레 예술은 이미 이를 증명했습니다. 그리고 그보다 훨씬 더 섬세하고 풍부한 중국고전무용은, 인류 예술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되며, 전 세계 모든 민족이 함께 지닐 수 있는 문화의 보물이 될 것입니다.
“만 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한 번 몸소 체험하는 것이 낫다(讀萬卷書,不如親身體驗).” 션윈 공연을 통해 진정한 중국고전무용을 직접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